1974년 04월
84호
박용구 / 왜, 관념예술인가? / 사랑방 / 문화 / 2 / 인간의 조건, 진시왕때 대상인 여불위, 쿠르트 작스, 저서 '동서고대음악의 생성', 여불위 저서 '여씨춘추' 인용, 사마천의 '사기', 여불위 관한 기록, 완벽주의의 무게와 위엄, 우리 도공 불균형의 아름다움, 적당주의 합리화, 완벽주의로 양식화된 문화, 세계문화에 영향, 겸허한 반성의 자료 /
1974년 03월
83호
이경성 / 화가 장욱진 / 특집 / 미술 / 19~23 / 장욱진의 인생과 예술, 칸트의 천재론, 예술은 불가사의, 장욱진은 선천적인 예술가, 동경제국미술학교, 자연숭상의 사상, 정신적인 인생관과 우주관, 선험적으로 존재, 자연과 우화의 실현, 투시원급법 무시된 2차원의 세계, 상징과 기호, 신사실파 그룹전, 천생 야인이며 자유인, 이중섭과 박수근과 장욱진, 한국근대가 가진 3대 예술가 /
1974년 02월
82호
황병기, 박용구 / 예술의 새로운 전개를 위하여- 1)음악편, / 음악 / 4~8 / 예술의 새로운 전개를 위하여- 1)음악편, 대담, 예술은 소생할 것인가, 1950년 대 이전 가곡중심, 가사는 민족 주체성, 음악어법은 서양 답습, 60년 대 국제관계 고려한 체질화 문제, 서양의 귀족적 음악, 형식과 내용 계승, 우리나라 정악, 사회적 기반, 아악 정악 민속악 상호 영향, 전통의 계승, 엘리트 의식 타파, 한국고전음악에서의 서구 전위예술 요소, 아방 가르드 /
1974년 01월
81호
편집부 / 한국현대건축의 미학적 현황 / 기타 / 70~71 / 강수화 다완전, 제2회 한국인더스트리얼 디자이너회전, 실내악의 밤, 20대현대작가전, 곽덕준전, 오페라 아리아의 밤, Eight american Artists, 신작 한국가곡 발표회, 월전화전, 정관모조각전, 바로크합주단 정기연주회, 극단 '73그뒤' 공간사랑 공연, /
1974년 01월
81호
최욱경, 정관모, 박용숙 / 한국현대건축의 미학적 현황 / 미술 / 27~42 / 대담, 최근 미국미술, 현대예술, 유럽 근대합리주의 반발, 다다이즘의 영향, 안티 테제 실현, 예술과 현실의 일치, 로버트 라우센버그, 회화와 조각 연결 실증, 최욱경 전시회, 미국영향과 독자성, 화석이 된 개(최욱경), 시인과 돼지(최욱경), 정관모작품전, 생동하는 조각, 종말의 지평(정관모, 1971), 생의 의미(정관모, 19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