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호
최순우 / 주경의 추상 / 미술 / 19 / 표현파, 앙포르멜, 백우회, 창조역량, 환경, 외도, 만년 청년 , 모더니스트의 전형, 해금강(1974) /
87호
박용구 / 한국양식건축의 발자취 / 음악 / 63~68 / 대담, 이주연, 성악가, 주네브 콩쿠르 입상, 노래와 시, 몸에 밴 언어감각, 김영욱, 바이올리니스트, 갈라미안, 에센바흐, 연주가의 고독, 정경화, 바이얼리니스트, 라벤트리트 콩쿠르 1등, 연륜과 더불어, /
85호
김원 / 환경과 문화 / 연재 / 건축 / 45~56 / prefabrication, 현대건축, 조립식공법 비중 절대적, modular co-ordination, bathroom unit, prestress beam, 델프트공과대학, 랠리스타드의 실험국민학교, 반영구적 구조시스템, movable partition, Emmen 뉴타운 /
84호
편집부 / 왜, 관념예술인가? / 기타 / 69~70 / 도상봉유화전, 9인전, 서세옥화전, 김민선 귀국독창회, 국립교향악단 제123회 정기연주회, 박성환 도불전, FLORPIZZ 서울여성오케스트라, 백낙호 피아노연주회, 이종구 작곡발표회, 공간사랑의 밤 /
박용구 / 왜, 관념예술인가? / 사랑방 / 문화 / 2 / 인간의 조건, 진시왕때 대상인 여불위, 쿠르트 작스, 저서 '동서고대음악의 생성', 여불위 저서 '여씨춘추' 인용, 사마천의 '사기', 여불위 관한 기록, 완벽주의의 무게와 위엄, 우리 도공 불균형의 아름다움, 적당주의 합리화, 완벽주의로 양식화된 문화, 세계문화에 영향, 겸허한 반성의 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