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3년 11월
80호
편집부 / 예술은 소생할 것인가? / 기타 / 82 / 제1회 인간문화재 공예작품 전시회, 제6회 이종무 유화전, 박영국 유화전, 여성건축가세미나, 건축가협회 세미나, 한국선사시대청동기특별전, 홍석창귀국전, 최만린 조각전, 최영림 귀국 초대전, 제2회 한일3대학 디자인 미술교류전, 창극회 작품발표회 /
1973년 11월
80호
서연호 / 예술은 소생할 것인가? / 특집 / 연극 / 6~10 / 예술의 침체, 창조적이고 의미부여의 형식, 대중예술의 망각, 인간상실 촉진, 우리 현대연극, 문화 예술의 역조현상, 현해탄 콤플렉스, 전위적인 부조리연극, 수용태도 반성 촉구, 우리 연극예술 위기 직면, /
1973년 10월
79호
마샤 B. 시겔, 황병기 역 / 전위무용 / 특집 / 무용 / 18~20 / Marcia B. Siegel, 전위무용, 활기 있고 건전, 무시 못할 창작성, 무용의 태두리 확대, 사회적 증인과 대변자 구실, 오늘날 전위무용가들의 특징, 연속성에 대한 관점, 창작생활 때문에 존재, 최초 작품 반목 불필요, 새로운 무용은 대중의 것 /
1973년 08월
77호
한묵 / 화가 한묵 / 특집 / 미술 / 18~21 / 추상회화고찰- 본질과 객관성, 문학예술 1954년 10월, 추상회화, 본질은 사실주의, 순수형태와 색채, 다이내믹한 구성, 현실적 객관성, 현대의 리얼리티, 현대회화의 추상성문제, 그 발전 과정과 현재적 의의, 현대공론 1954년 9월, 20세기 회화, 주관주의, 초현실주의회화, 창조된 현실, 입체파 정신 계승, 추상주의회화, 우리가 찾는 추상, 구상 바탕의 리얼리티 인식 /
1972년 08월
67호
신영훈, 김동현 / 국전 건축 지상전 / 건축 / 58~64 / 한국정원, 꽃과 수목(花,樹), 산림경제, 택목(宅木), 잡기(雜忌), 용원서식(龍園墅植), 구문원식(龜文園植), 재수잡법(栽樹雜法), 수목 용도, 종식법(種植法), 원치(園治)에 유익, 송광사 정원, 창경궁 석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