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호
편집부 / 1967년 프로젝트 / 시평 / 미술 / 16~17 / 이종우, 한국 양화 도입 공로자, 불모지 화단의 개척자, 현대미술의 바로미터, 공진회, 파리 /
조동화 / 1967년 프로젝트 / 우리 미의 재발견 / 무용 / 8~15 / 우리 미의 재발견, 춤, 한국춤 원형, 흥, 멋, 춤의 본질, 장고, 고수, 손의 표정, 한국 춤의 얼굴, 발, /
공간사 / 1967년 프로젝트 / 논단 / 건축 / 6~7 / 정부종합청사, 설계변경, 설계측 해명 묵살, 건축가 불신 풍조, 사대주의 근성, 불신의 근거, 대구 청구대학 신축공사 붕괴, 신뢰감, 68년 미술계, 새로운 시대에의 출발점, 문화로서의 미술운동, 사회적 이데올로기 /
14호
편집부 / 한국 현대건축의 오늘 / 공간포럼 / 건축 / 98~101 /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죠셉 카이힐, 유진 굳센, 요른 웃존, E.H. 파머, 앙등하는 비용, 콘서트홀, 복권, 심사경위, 이로 사리넨, 웃존 설계안 당선 /
이구열 / 한국 현대건축의 오늘 / 한국 추상회화 10년 / 미술 / 90~92 / 전기시대, 추상이후, 세계미술, 예술과 현대과학, 전광 예술, 테크놀로지, 해프닝의 변모, 백남준, 일렉트릭 서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