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호
성경린 / 현상설계와 한국건축문화의 오늘 / 공간수상 / 음악 / 44~45 / 신국악 발표회, 무대의 부산함, 창작국악, 등장과 퇴장, 조경, 연주 조잡, 연주자 책임, 김기수-정회갑, 신국악의 변화 발전, 한국적인 음악이념, 자유롭고 아름다운 예술 /
최정호 / 현상설계와 한국건축문화의 오늘 / 연재 에세이 / 미학 / 42~43 / 건강한 집사치, 생활환경의 미화작용, 공공부문 재정정책, 서독의 법제, 공사비 2%, 미관정비, 건축에의 예술, 사회교육적 동기, 심미적 문맹 퇴치, 조형예술가들, 심미 예술분야, 평생교육의 혁명, 예술작품을 일상속으로, /
김원 / 현상설계와 한국건축문화의 오늘 / 특집 / 건축 / 20~21 / 특집, 현상설계와 한국건축문화의 오늘, 참여거부, 적극적 참여, 건축주, 책임자의 모럴리티, 자문하는 건축가, 심사 건축가, 응모 건축가, 국외의 건축가들, 감시자, 작은 관심, 격려와 성원, 모두를 위한 개선 /
104호
공일곤 / 5개의 주거 - 생활의 틀, 재조직되는 공간 / 특집 / 건축 / 10~13 / 서울 영동구 반포동, 사회인의 책임감, 테두리 벗기, 공학적 관점, 설계자의 특권, 가족실, 서재, 2층 테라스 /
103호
이상일 / 80년 대를 향한 정신문화의 반성자각전망 / 공간리뷰 / 연극 / 87 / 극단 민예 '한네의 승천', 오영진 원작, 손진책 연출, 근대화에 대한 역습, 제례의 형식, 무대장치, 아악과 민속악, 뮤지컬, 안무의 협찬, 제례기 예악, 고대형식 재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