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5년 12월
222호
홍가이 / 한국화, 오늘의 상황과 과제 / 음악 / 88~95 / 리햐르트 바그너, 독일판 Oresteia, 서베를린 Deutsche Oper, '리벨룽겐의 반지', 인간정신의 역작, 독일 아방가르드의 산물, 현대판 바그너 제작, 에스킬러스적 의식, 한국의 시도, 올림픽 문화행사, 한민족의 정신적 유산, 범국민적 토론 /
1985년 12월
222호
서세옥, 이태호, 허영환, 김양동, 유홍준, 원동석, 오광수, 김종태, 심경자 / 한국화, 오늘의 상황과 과제 / 특집 / 앙케이트 / 예술 / 54~65 / 서세옥: 독창적 예술의 길, 이태호: 우리 시대 우리 그림, 허영환: 온고지신과 장인기질, 김양동: 서예와 전각의 의미, 유홍준: 우리 시대 작가정신, 원동석: 한국화의 주체성회복, 오광수: 기대와 충고, 김종태: 한국화의 미의식, 심경자: 다양한 전개 /
1985년 12월
222호
김병종, 이철량, 이영석, 홍순조 / 한국화, 오늘의 상황과 과제 / 특집 / 좌담 2 / 미술 / 45~53 / 한국화, 새로운 먹의 당위성, 전통적 아카데미즘, 사경적 형상, 먹 선택 이율배반, 전통과 현대성, 비형상 회화, 채색화, 민족색채, 한국화명명의 문제 /
1985년 12월
222호
홍석창, 오용길, 이철주, 이경수, 최병식 / 한국화, 오늘의 상황과 과제 / 특집 / 좌담 1 / 미술 / 36~44 / 한국화, 고유 화론 정립, 대학교육, 입시제도, 동양화 교육과정, 석고데생, 유관학과 개설, 대학원교육, 전문작가 양성, 현대수묵, 동양화와 한국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