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8호
강국진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4] / 특집-3 / 미술 / 56~58 / 역사 현장, 문화 작태, 선의 반복, 색의 변화, 역사 표현, 세필 기법, 전면 화면, 무한한 가능성, 강국진 작 '가락 80-3', 홍익대 회화과 /
김한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4] / 특집-3 / 미술 / 53~55 / 튕김, 긴장감, 소리, 에너지, 가야금 산조, 피치카토, 단색조, 동양적 이기론, 불가의 선, 김한 작품(한지에 묵, 색연필, 1980), 홍익대 회화과 /
최대섭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4] / 특집-3 / 미술 / 47~49 / 원초적 체험, 롤러, 자국, 화면 형성, 중성화, 작위성, 선조의 궤적, 수묵의 체험, 이일: 롤러는 손의 연장, 최대섭 작 '흔적 1001-80', 홍익대 회화과 /
157호
김태호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3] / 특집-2 / 미술 / 82~84 / 일류전, 조형언어, 개성, 재료, 기법, 강한 직선, 유연한 곡선, 수평 띠, 평면의 구조화, 김태호 작 '형상 79-K', 홍익대 회화과 /
신성희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3] / 특집-2 / 미술 / 80~81 / 윤우학 평문, 평면, 물질, 새로운 회화공간, 배분 구조, 독자성, 시지프스, 신성희 작 '확장'(1976), 홍익대 회화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