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3년 04월
74호
홍석창 / 건축가 나상진 회고 / 미술 / 미술 / 48~51 / 양선심(Yeung Sin Sum), 광동인, 교토미술학교, 홍콩 전시회, 남양각국에 중국미술 선양, 타이베이 국립역사박물관 초청 전시회, 북종화 풍의 동물화, 수묵 곁들인 설채, 파묵법의 산수화, /
1973년 04월
74호
강명구, 김희춘 / 건축가 나상진 회고 / 건축 / 건축 / 29~31 / 소조 나상진, 전북 김제 부농의 아들, 예술의 선천적 재능, 전주공업학교, 학생운동 참가, 동지적 사랑 의미 체득, 졸업후 서울 건설사 입사, 해방후 대양토건 기술진, 1952년 설계사무소 개설, 건축가협회 부회장, '현대건축'지 출간, 자연 사랑, 초가와 조화된 기와집, 정부종합청사계획안, 수평선 강조 아담한 건축, 윤택한 마음, 다 이루지 못한 비전 /
1973년 02월
72호
김청자, 이상만 / 김환기 근작 10선 / 음악 / 51~55 / 김청자, 독일 Leopold Mozart음악학교, 피아노와 성악 전공, 베른 오페라단 제1 메조 소프라노, 발성법, 우리 가곡에 대하여, 유럽 오페라의 세계, 국제 콩쿨의 가능성, 연주의 개성, 한국 오페라의 발전 /
1973년 02월
72호
박용구 / 김환기 근작 10선 / 음악 / 49~50 / Luciano Berio, 이탈리아 작곡가, 음성과 악기 기능 재창조, Sequenza 시리즈, 연속(속송), Sequenza 3번, 무반주 독연, Marx Kutter의 시, 언어의 근원적 뿌리, Rabolintus-Ⅱ, 청중과 현대음악 관계 모색, '오페라'라는 오페라 초연 /
1973년 02월
72호
홍석창 / 김환기 근작 10선 / 미술 / 30~32 / 황쿤피, 광동남해서초인, 초기 서양화 공부, 화가 이요병에게 사사, 중국화 전문, 송원명청 준법 연구, 산석의 문리, 자기 준법, 자유로운 운필, 서양화 익힌 탓, 황군벽의 산수화, 남종화 영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