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 10월
160호
김유경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6) / 초점 / 연극 / 105~106 / 극장, 예술의 중심, 전문성, 무용단, 창극단, 탈춤, 판소리, 배우의 기량, 손진책, 창작극, 민속무용과 굿, 대한민국연극제, 민속무용가 안무, 뮤지컬의 연극인, 집체, 총화 /
1980년 10월
160호
글 정병호, 사진 박진주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6) / 연재 / 무용 / 100 / 밀양, 농경문화, 양반과 서민 갈등, 두레농사, 협화적인 가무, 밀양민속예술보존회, 개성적 춤놀이, 백중놀이, 범부춤, 물장구와 사장구, 오북춤 /
1980년 10월
160호
장경호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6) / 건축 / 98~99 / 목조건물, 단청, 장식, 목질 방부, 고구려 벽화고분, 고려 중기, 개칠, 고색단청, 문화재, 안료, 동양화, 금속 성분, 아황산가스, 문제점 해결, 수입원료 /
1980년 10월
160호
김복영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6) / 연재 / 미술 / 88~97 / 오브제, 개념, 미술과 양식, 컨셉추얼리즘, 세리그래피, 리히텐슈타인, 모방의 모방, 미술 맥락, 환경미술, 단일체계, 중성적 양식, 대지예술, 현대 드로잉, 앤디 워홀 작 '녹색 코카콜라 병들'91962), 피카소의 황소 시리즈(1945), 리히텐슈타인의 황소 시리즈(1973), 클라에즈 올덴버그 작 '거대한 초콜릿에 대한 연구'(1966), 크리스토 작 '서부해안의 방벽을 위한 계획'(1972) /
1980년 10월
160호
이강소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6) / 미술 / 80~87 / 대구 미술, 개괄 이해, 시대 현황, 서동진의 수채화, 이인성의 유화, 주경의 추상화 시도, 정점식-시적인 화면, 추상표현주의, 다양한 변모, 70년 대 양상, 새로운 세대, 실험적 경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