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6호
정시화 / 국악 1천년 과 국립국악원 / 공간리뷰 / 디자인 / 87 / 조영제디자인전, 그래픽디자인, DECOMAS, 기업이미지, 대중 전달, 문화적 발전, 이미지 동일화 디자인 프로그램, 그래픽디자이너, 새로운 인식 /
이흥우, 오광수 / 국악 1천년 과 국립국악원 / 공간리뷰 / 미술 / 85~86 / 여초 김응현 서전, 호방함과 원숙성, 정건모 작품전, 색가와 이미지의 갈등, 동양화 중견작가 21인 초대전, 신변잡기적인 소극성, 홍정희작품전, 스케일과 물질의 융화 /
신영훈 / 국악 1천년 과 국립국악원 / 연재 / 건축 / 76~84 / 건축사 시대구분, 고구려 건축, 도읍의 터, 국토건설의 기본, 위나암성, 압록강 유역, 결려(結廬), 궁려, 부여시대 건축술, 국내성, 고분과 석총, 환도성, 장군총, 축조기술, /
박세정 / 국악 1천년 과 국립국악원 / 음악 / 72~75 / 청년 문화, 교육부재, 방송 프로그램, 방송음악, 음악의 비중, 교육적 기능, 기술개발, 음향효과, 전속 단체, 방송의 기록화, 사회적 기능 /
황병기 / 국악 1천년 과 국립국악원 / 연재 / 음악 / 68~71 / 아악 선율, 세종대왕, 선율의 허, 음고선(pitch line), 선율의 실, 7음, 중국 아악, 아악 선율의 시김새, 부(缶)와 진고, 악지(樂止)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