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 09월
159호
지석철 / 노르웨이의 건축 / 특집-2 / 미술 / 82~83 / 의자 쿠션, 실제성, 특정 사물, 어떤 이미지, 육감성, 문맥, 체험의 장, 활성, 지석철 작 '반작용8029', 홍익대 회화과 /
1980년 08월
158호
곽남신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4] / 미술 / 129~134 / 70년 대 한국미술, 일본화단 의존, 현상학과 예술, 분석철학과 예술, 존재의 신비, 순수주의, 과도한 굴레, 정신의 논리, 형이상학 /
1980년 08월
158호
김복영, 윤우학, 한상우, 구희서, 한상철, 이재하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4] / 리뷰 / 예술 / 120~128 / 천명자 조각전, 제7회 S.T그룹전, 김주영 전, 시향 251회 정기연주, 서계숙서계령 피아노 2중주, 국립무용단 '푸른 천지', 시립무용단 '땅굿', 오태석 연출 '태', 서평, 김영태 소묘집-잠시 머물렀던 환영들, 열화당, 이재하 서평: 내밀한 선묘 /
1980년 08월
158호
옥영식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4] / 미술 / 89~95 / 부산미술, 문화적 토양, 작품세계, 향토적 서정, 생명의 의지, 실존적 삶, 본질 추구, 자기동일성, 남부의 감성, 김윤민 작 '초원', 서상환 작 '구도자', 안창홍 작 '병실', 현재호 작 '교회', 김만철 작 '자회상, 김원명 작 '영도풍경' /
1980년 08월
158호
하동철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4] / 특집-3 / 미술 / 65~67 / 우주와 자연, 근원적인 본질, 빛, 표현요소, 선적인 형식, 원시미술, 선적 문양, 선의 집합, 형상의 동질성, 공간감, 색의 중량감, 하동철 작 '빛 56x76 80-3'(스톤헨지 종이에 펜), 서울대 회화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