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7호
유홍준 / 뛰어드는 미술, 도시의 벽화 / 시점 / 미술 / 81~83 / 최영림 초대전, 스승 무나가다, 일본현대판화 선구자, 비애의 표현, 조용한 변화, 향토적 서정, 민중문학, 설화적 의미, 노경의 완숙, 최영림 작 돌에 유채, '소풍'(1981), '꽃장수'(1981) /
하동철 / 뛰어드는 미술, 도시의 벽화 / 수상 / 미술 / 78~80 / 자아, 최초 표현충동, mark, 선, 지향적, 반복 형식, 세포분열적 확대, 우주의 질서, 개체, 밀도, 층, 무형의 정신성, 하동철 작 '빛(Black+Brown)ⅠⅡⅢ'(1980-81), '빛(다섯개의 어긋남)'(1980) /
165호
오광수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 (9) / 미술 / 98~102 / 해주미술학교, 부산피난시절, 국전, 미협전, 창작미협, 목우회, 신상회, 현대미술운동, 추상표현주의, 단면도적 효과, 박항섭 작 '마술사의 집'(1950), '물고기의 축제'(1976), '농경시대'(1976) /
박동인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 (9) / 특집 / 미술 / 58~59 / 직교의시각, 사물 표현, 풍경, 자연, 조화, 애착, 환경, 허상, 동양적 감각, 박동인 작 '아침', 서라벌예대 졸, 추계예술대 교구 /
164호
윤우학 / 아시아지역의 현대미술, 그 상황의 일면 / 미술 / 72~73 / 화가 김용진의 죽음, 애석한 마음, 못다한 꿈, 사실과 현실 전, 에민한 감수성, 개적 신화, 현대인의 속성, 편집증, 표상, 의식, 정감, 개별성, 김용진 작 '신학-9,10'(1979-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