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8년 12월
138호
박영규 / 제3회 공간대상 <건축상> / 연재 / 디자인 / 90~94 / 찬탁, 특수 구조 재료 필요, 특이한 탁자, 공간사 소장, 균형 이룬 설계, 특수 짜임새, 찬장 역할, 돌쩌귀 경첩, 변자, 인간공학, 자연목리, 세부명칭 /
1978년 11월
137호
이경성, 이구열, 김인환, 한상우, 한상철 / 창간 12주년 기념 증면호 / 리뷰 / 예술 / 113~119 / 미술, 박경득 동양화전, 유현주 자수전, 강태성 야외주각전, 노재승 작품전, 민전 대상 수상작가전, 심문섭 전, 정완규 판화전, 김상구 작품전, 황용엽 인간전, 신지식 작품전, 음악, 국립교향악단 177회 정기연주, 연극, 극단 가교 '태풍' 공연, 민예극단 '바다와 아침 등불' 공연 /
1978년 11월
137호
김철순 / 창간 12주년 기념 증면호 / 연재 / 미술 / 65~73 / 도화서 양식의 특징, 장엄, 웅대, 여유만만, 창미, 조화, 독다적 화풍, 생명의 예술, 민화풍, 한시각 작 '북새선은'(17세기), (傳)안귀생 작 '화조'(15세기), 책거리(작가 비상, 18세기) /
1978년 09월
135호
김철순 / 현대서양화와 한국적인 주제의 전개 / 연재 / 미술 / 44~52 / 한국 무화의 특성, 놀이와 긋의 세계, 죽음의 여신, 무속의 색, 한국의 색, 불교와 유교, 한국 무화의 자취, 무화의 요소와 한국 그림, 천하대장군 마누라, 천광천녀, 부적(1569), 강태공(19세기) /
1978년 06월
132호
김철순 / 워싱턴 국립미술관 동관 / 연재 / 미술 / 32~42 / 깨달음의 민화, 무의 예술, 어린이 그림, 어수룩한 그림, 그림으로 얻은 깨달음, 한국의 장인, 평범한 사람, 조선백자의 버드나무(15세기), 연꽃(17세기), 바위와 나뭇가지(19세기), 위수의 낚시꾼(19세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