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8년 08월
134호
시저 펠리, 김남현, 조정권 / 도시의 길, 사람의 길 / 건축 / 8~12 / 대한교육보험본사 설계, 주일미국대사관, 단순하고 기품 있는 건물, 풍토성, 한국 전통건축 색깔, 크리스탈 팰리스, 제3세대와 코페르니쿠스, 건축의 목적, 설계는 이성적인 타협, 아이디어와 이론, 어반 뉴클리어스, 현대속 통합된 분자, 건축은 예술의 어머니 /
1978년 07월
133호
편집실 / 건축가가 생각하는 집 / 기타 / 117 / 박상옥화백 회고전, 출이 김금출 화전, 배동신 수채화전, 김수익 작품전, 제정자 전, 명창준 개인전, 전년 일 전, 한ㅁ국미술청년 작가회전, 목원대학교 작품전, 김정희 조각전, 이희경 전, 극단 ㅃ@nfl '동눌원이야기' 공연, 국립극단 공연 '흑하', 극단 고향 '2번가의 죄수' 공연, 창작무용극 '바리공주', 허동화 저 '한국의 자수' 출간, 대화신서 '민족문화와 민중의식' /
1978년 07월
133호
건축가가 생각하는 집 / 특집-3 / 건축 / 88~89 / 공항이 하나의 도시, 새깔 이용 정보체계, 파란색: 비행기와 육로 사이 거리, 녹색: 보조 서비스와 비상구, 흰색: 상품들, 붉은색: 경계 /
1978년 07월
133호
보이스 렌즈버거, 김은희 역 / 건축가가 생각하는 집 / 미술 / 48~54 / 뉴욕 타임즈 매거진 기사, 빙하시대 미술, 미국 자연사박물관, 크로마뇽인의 미술, 다양한 동물화, 초상화, 알타미라 동굴화, 덧입혀진 벽화, 그림보다 놀라운 조각품, 중동문명의 뛰어남, 피레네 산맥 니오동굴 들소 벽화, 빙하시대 인간의 얼굴, 매머드 상아의 정교한 말조각, 크로마뇽인의 전리품 /
1978년 07월
133호
황규백 / 건축가가 생각하는 집 / 미술 / 44~45 / 경질의 공간 뉴욕, 광물질의 정글, 인간과 자연의 분리, 작품 경향, 잔디의 세계, 비정의 현대회화, 한가닥 꿈과 환상, 무언의 정감, 요설과 침묵의 시대, 중간위치에 정착, 황규백 작 '성냥개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