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9호
이흥우 / 70년 대 한국미술의 정황 / 시점 / 연극 / 66~67 / 오태석 작 /
김철순 / 70년 대 한국미술의 정황 / 연재 / 미술 / 54~65 / 민화의 믿음, 지성적인 민족, 사람에 대한 미음, 사람의 사랑, 자연을 믿은 장인들, 밝음을 믿음, 예술을 믿음, 효제도 8폭중 '제', 정영주 작 '밝은 달밤', 어파 작 '치성마마', 도닦는 호랑이(종이에 먹), 잠자리 잡던 시절(종이에 채색) /
정영호 / 70년 대 한국미술의 정황 / 미술 / 50~53 / 경북 성주 노석동, 도고산 마애불상, 삼존불과 여래좌상, 아미타여래좌상 주존, 화강암벽에 천각(淺刻), 좌측 협시보살, 관세음보살좌상, 우측 협시보살, 대세지보살 좌상, 7세게 후반 추정 /
김원룡 / 70년 대 한국미술의 정황 / 미술 / 47~49 / 미륵, 중생 구제 미래불, 탑형관 금동미륵반가상, 북제식(北齊式) 전통, 화관미륵반가상, 방형대좌미륵반가상(보물 331호), X자 구슬장식, 역오메가형 주름, 미륵보살의 자비상 구현, 관념적 추상적 표현, 7세기전반 신라시대 반가상 /
정중헌 / 70년 대 한국미술의 정황 / 미술 / 42~46 / 화랑, 미술문화의 중심지, 매매보다 감상, 화랑의 시발 '반도화랑', 아시아재단 후원, 본격 상업화랑, 관훈동 현대화랑, 명동화랑, 현대미술운동, 미술진흥과 중과세, 한국화단 취약점, 양식있는 화랑, 안목있는 콜렉터, 화랑협회 공매제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