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9년 01월
139호
김용익 / 일본에 있는 고려불화 / 미술 / 53~59 / 한국현대미술, 뜨거운 추상, 차가운 추상, 개념예술, 새로운 평면, 122작가385 작품, 집단적 항거와 실험, 외국사조, 문화적 변방주의, 새로운 평면회화의 가능성, 박서보 작 '원형질 No.1-61'(1962), 윤명로 작 회화 M.100'(1963),하종현 작 '도시계획백서 67-7'(1967), 이건용 작 '관계항'(1972), 이우환 작 '선에서'(1977), 김구림 작 '전등'(1977), 윤형근 작 '다청'(1976) /
1979년 01월
139호
김철순 / 일본에 있는 고려불화 / 연재 / 미술 / 32~42 / 한국 판화의 특질, 오랜 전통, 독특한 양식, 금속활자, 고려 목판, 불교, 유학, 국가행정, 장식, 그림 통한 교화, 한국판화 3대양식과 특징, 참된 아름다움, 초각 고려대장경(1011), 아미타여래삼존상(11세기), 오륜행실도(1796), 해조관음(목판, 해인사 소장), 부모은중경(1769, 목판) /
1978년 12월
138호
백승길 / 제3회 공간대상 <건축상> / 포룸 / 미술 / 107~113 / 불상의 배열, 지성소, 사찰 전체 성로, 중국 불상 배치도, 불상 배열 경전에 근거, 전통의 도해, 만달라, 명상을 위한 그림, 보살상의 기원, 대승불교의 보살, 돈황석굴 아미타불 그림, 인도 아잔타 석굴 1호실 관음보살상, 반가사유상 /
1978년 12월
138호
박영규 / 제3회 공간대상 <건축상> / 연재 / 디자인 / 90~94 / 찬탁, 특수 구조 재료 필요, 특이한 탁자, 공간사 소장, 균형 이룬 설계, 특수 짜임새, 찬장 역할, 돌쩌귀 경첩, 변자, 인간공학, 자연목리, 세부명칭 /
1978년 12월
138호
이광미 / 제3회 공간대상 <건축상> / 미술 / 76~83 / Art about Art, 온고지신, 뉴욕 휘트니미술관, 진 리프만과 리처드 마샬의 입안, 리처드 해밀턴, 에언적 콜라주, 자신 작품 대상, 재스퍼 존스 작 '물감을 칠한 브론즈', 옛 거장 대상, 피터 솔 작 '야경'(렘브란트의 야경), 근대의 대가 대상, 로이 리히텐스타인 작 '안락의자에 앉은 여인'(피카소의 '고양이를 안은 여인'), 미국초기 대상, 톰 웨슬맨 작 '정물 No.31'(길버트 스트워트의 '조지 워싱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