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9년 12월
150호
김복영, 김인환, 이경성, 한상우, 구희서, 한상철 / 김수근과 스페이스 그룹 / 리뷰 / 예술 / 246~262 / 미술, 제13회 한국청년 작가회전, 송번수 10년 전, 한기주 전, 장영숙 판화전, 김윤신 조각전, 장순업 전, 유희영 전, 전년 일 전, 최복현 전, 전국광 조각전, 김영철 전, 제21회 오리진회화협회전, 강은엽 전, 안순희 염직전, 음악, 오페라 '리골레토', 전봉초 회갑기념연주회, 무용, 제1회 대한민국무용제, 연극, 민예극장 '다시라기', 성좌 '못잊어', 제작극회 '물새야 물새야', 가교 '개뿔' /
1979년 12월
150호
김복영 / 김수근과 스페이스 그룹 / 시점 / 미술 / 242~245 / 김구림 근작전, 공간미술관, 문제의식, 문제의 딜레마, 이미지와 논리, 행위와 지각, 중심 개념, 이미지현상학, 김구림 작 '슬리퍼'(브론즈, 1979), '전화기'(브론즈, 1979) /
1979년 12월
150호
이흥우 / 김수근과 스페이스 그룹 / 시점 / 미술 / 240~241 / 화가 장욱진, 화집 발간 기념전, 판화와 신작 유화, '붓장난' 먹그림, 조형의지, 모필과 수목, 실크스크린 판화 작품 /
1979년 12월
150호
이흥우 / 김수근과 스페이스 그룹 / 시점 / 미술 / 238~239 / 산정 서세옥 전시, 일본 갤러리 우에다, 일본 신문 기사, 현대 수묵의 가능성, 문자성과 리듬감, 동양적 예술세계, 새로운 회화성, 시화일치, 도서의 묘미, 서세옥 작 '군무', 사람, 비 /
1979년 12월
150호
김복영 / 김수근과 스페이스 그룹 / 미술 / 234~237 / 구상조각회, 구상적 사고, 구상적 양식, 기존형, 구조적 관심, 구조주의, 개념적인 추상, 시방법론, 김창희 작 '약동 79', 문혜자 작 '심상', 민미례 작 '여인', 유영교 작 '입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