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년 05월
203호
이반 / 도시건축의 외부공간 / 미술 / 123 / 예술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아놀드 하우저, 예술의 이중적 본질, 쉴러, 소재충동, 형상충동, 미적 자유, 도덕미, 인격미, 비트켄슈타인, 훗설, 메를로 퐁티, 미학논리, 예술표현, 뵐프린, 불연속의 교육, 바슐라르, 순발력, 실기교육의 강화, 공감대,, 자유로운 소통 /
1982년 08월
182호
이재준 / 프라거 플랏츠 프로젝트 / 연재 / 건축 / 114~121 / 법수사지, 경북 성주 가야산, 성산 가야, 신라 대찰, 가람배치, 금당지, 축대, 유물, 3층석탑, 연화대좌, , 연화대석, 당간지주, 석탑기단갑석, 연화문 수막새, '문'명 평기와 /
1980년 11월
161호
김원 / 광장건축 / 김원 / 제5회 공간대상 <국제판화상> / 특집-2 / 건축 / 73~75 / 서울 용산구 이촌동, 종교건축, 본질, 종교예술, 종교적 감동, 감동적 건축, 교회공동체, 전례, , 종교음악, 사각형의 방, 이상적 모델 /
1980년 10월
160호
이흥우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6) / 미술 / 58~67 / 운보 김기창, 우향 박래현, 소리의 암흑, 이당 김은호, 무용의 용, 심무독기, 구상, 입체파, 추상, 민화류, , 김기창 작 '신선도'(1943), '가을'(1931), 승무(1960), 복덕방(1952), 행려(바보산수)(1976) /
1980년 09월
159호
허영환 / 노르웨이의 건축 / 미술 / 90~98 / 운미 민영익, 시서화, 사대부화가, 한국의 난죽화, 운미의 묵란화, , 묵죽화, 상해생활, 한국묵란죽화사, 업적, 난석도, 노근란도, 묵란도, 죽석도, 흑죽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