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호
우순옥 / 만남의 실체로서의 다리 / 여행 / 125~130 / 아시나-태평양 지역 현대미술 트리엔날레, 서울 올림픽 국제조각 심포지움, 퀸스랜드 미술관, 구본창, 우순옥 /
이용우, 최재은 / 만남의 실체로서의 다리 / 대담 / 미술 / 119~124 / 국제성, 자생성, 재일 한국작가, 생명, 시간, 재생조형관, 대정 엑스포, 예술보호진흥정책 /
황 인 / 만남의 실체로서의 다리 / 특집 / 미술 / 115~118 / 형식성, 색채, 물질개념, 쉬포르 쉬파스 미술 운동, 물성작가 /
김융희 / 만남의 실체로서의 다리 / 특집 / 미술 / 109~114 / 원근법, 데카르트적 합리주의, 텍스트로서의 작품, 벨라스케스, 시녀들 /
정헌이 / 만남의 실체로서의 다리 / 특집 / 미술 / 95~108 / MOMA, 종말론적 신화, 모더니즘, 회화적 유명론, 개념미술이론, 그린버그, 미니멀리즘, 관리의 미학, 예술의 종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