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7호
박길룡 / 국내학생건축상 공모전의 향위 / 특집 / 건축 / 36~41 / 건축상이라는 제도적 장치,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건축상, 상의 성격과 반성, 주제설정의 배경 /
256호
민경찬 / 올림픽의 한국적 수용과 반성 / 기획 / 음악 / 음악 / 70~73 / 조영출, 신고송, 조선민요합창곡집, 조선음악가동맹, 김순남 가곡집 '산유화', 이건우 가곡 '금잔디', 안기영: 작별 /
김태원 / 올림픽의 한국적 수용과 반성 / 특집 / 무용 / 무용 / 58~62 / 김영희: 어디만치 왔니, 최테레사: 완전한 불완전, 김삼진: 저녁의 게임 /
한상철 / 올림픽의 한국적 수용과 반성 / 특집 / 연극 / 연극 / 54~57 / 서울연극제, 민족극 한마당, 체코 스보시 극단: 충돌, 폴란드 가르디니차 극단: 아바쿰, 브라질 마쿠나이마 극단: 쉬카 다 실바, 윤조병: 젖섬, 조원식: 술래잡기, 신명순: 증인, 박조열: 오장군의 발톱, 문호근: 구로동 연가 /
254호
이강숙 / 전통사회의 문화와 문화적 전통 / 사랑방 / 음악 / 30 / 가치대상, 쇈베르크, 베베르, 쇼스타코비치, 슈톡크하우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