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3년 05월
75호
박용숙 / 권진규의 예술, 생활, 죽음 / 미술 / 13~22 / 전 작품 테라 코타, 자각상(1966), 비구니(1966), 지원의 얼굴, 잉태한 비너스(1967), 길쭉한 나무, 포즈 A /
1973년 05월
75호
권옥연, 박용숙 / 권진규의 예술, 생활, 죽음 / 미술 / 6~10 / 예술만 신봉한 작가, 정신의 내면성 추구, 시미즈다카시의 후계자, 일본 조각계 평판, 일본 첫 개인전, 무사시노미술학교의 교수직 제의, 예술보다 조국이 중요, 단순 명쾌한 순수이성, 조각은 건축의 일부, 추상조각의 도시계획과의 연대성, 예술가의 사회적 측면, 모뉴망의 조각, 촛불 받는 실내 조각, 태양광 받는 희랍조각, 동양과 서양의 차이, 자신 작품에 회의, 형이상학적 자살 /
1973년 05월
75호
오광수 / 권진규의 예술, 생활, 죽음 / 미술 / 4~5 / 권진규의 자살, 행위의 의지, 폴록의 죽음, 자동차 사고, 행위의 지속, 명동화랑 개인전, 테라코타와 건칠 작품, 독보적 방법, 작업의 일관성, 한국적 리얼리즘, 천재형의 작가, 제작의 무상성, 아나크로니스트의 비극 /
1973년 04월
74호
박용구 / 건축가 나상진 회고 / 음악 / 음악 / 39~41 / Pierre Boulez, 전위음악 운동가, 뉴욕 필 하모닉 상임지휘자, 새로운 타입의 예술가상, 투명한 즉흥의 꿈, 말라르메(Mallarme)의 암시, 관리된 즉흥성-우연성, 제3 Piano Sonata, 악보는 연주자의 즉흥성 내포, Pli Selon Pli, Mallarme에의 오마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