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호
편집부 / 1967년 프로젝트 / 시평 / 미술 / 25 / 세운상가 아파트, 세라믹 벽면, 장식 요소로서의 세라믹, 새로운 감각, 세라믹 디자인, 건축의 형태적 장식언어, 김중업의 불란서 대사관, 김수근의 오양빌딩, 김영주의 거대한 세라믹 타일 작품, 건축과 장식, 상호보완적 관계 /
편집부 / 1967년 프로젝트 / 시평 / 미술 / 20~24 / 미국현대판화, 국제미술의 교류, 기술과 기교, 전위적인 표현수단, 인쇄된 예술, 레오나드 바스킨, 로버트 로우센버그, 스티븐 프렌치, 줄리안 스탄치크, 캐롤 섬머즈 /
편집부 / 1967년 프로젝트 / 시평 / 미술 / 18~19 / 현대미술관, 근대회화전, 홍대 부설 현대미술관 건립, 리얼리즘, 손응성, 이대원, 도상본, 김인승, 이마동 /
편집부 / 1967년 프로젝트 / 시평 / 미술 / 16~17 / 이종우, 한국 양화 도입 공로자, 불모지 화단의 개척자, 현대미술의 바로미터, 공진회, 파리 /
조동화 / 1967년 프로젝트 / 우리 미의 재발견 / 무용 / 8~15 / 우리 미의 재발견, 춤, 한국춤 원형, 흥, 멋, 춤의 본질, 장고, 고수, 손의 표정, 한국 춤의 얼굴, 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