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4년 08월
88호
홍순본 / EXPO 74 환경전람회 / 특집 / 건축 / 3~17 / Progessive without Pollution, 환경의 영향에 관한 보고서, 박람회의 환경적 위치, 역사적 배경, 박람회의 특징, Hexagonal Pattern, Symposium Series, Visual Criteria Manual, 오프닝, 환경의 의미, 국제적요구, 범세계적 협동 /
1974년 07월
87호
이종상 / 한국양식건축의 발자취 / 미술 / 4~10 / 빗나간 사관, 비윤리성, 기법론 무지, 논자의 그릇된 자세, 한국미술 일본에 매도, 중국의 문인화관, 편협된 가치관, 출신학교 '일본화의 매판', 목불식견, 한국미술 전통 부정, 일어탁수 /
1974년 05월
85호
유준상 / 환경과 문화 / 서평 / 미술 / 67 / 전문지에 발표한 논문 묶음, 관용의 기록, 전화번호부에 비유, 미술인지 정치인지 불투명, 미술연구, 미술가 연구, 미술가가 놓여진 사회환경 연구, 저자의 관심과 우려, 작품의 산실(散失)과 손상, 작가연구 등한시, 기록자료와 근대미술사연구 경시 /
1974년 05월
85호
이근삼, 이승규, 정진우 / 환경과 문화 / 연극 / 35~39 / 공간 80호, 에술은 소생할 것인가, 문화권 외곽, 소극적인 활동, 양적 확대 1차 과제, 내용적 뒷받침, 재정적인 문제, 영화나 TV가 대중을 흡수, 인류의 유산인 예술의 문제, 사회 공동 책임이란 의식, 연극인들의 자세와 태도, 극단이나 극작가, 짐작으로 정부 눈치 보기, 관객 찾아 설득할 때, 대중 속으로 파고 들어야, /
1974년 03월
83호
박용구 / 화가 장욱진 / 연재 / 음악 / 40~42 / 거문고 창시, 고구려 제2상 왕산악, 삼국사기 악지, 신라 옛 기록, 진나라 칠현금 연주법 현상, 고구려 왕산악이 개량해 연주, 왕산악의 시대, 거문고 벽화, 안악고분과 통구 무용총, 왕산악은 3~4세기 예부 장관 추정, 고구려 집권체제, 제정일치, 거문고의 샘플인 칠현금, 수공후와 와공후, 진나라 7현금이 곧 와공후, 왕산악이 7현을 4현으로 개량, 와공후가 거문고로 대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