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4년 05월
85호
유준상 / 환경과 문화 / 서평 / 미술 / 67 / 전문지에 발표한 논문 묶음, 관용의 기록, 전화번호부에 비유, 미술인지 정치인지 불투명, 미술연구, 미술가 연구, 미술가가 놓여진 사회환경 연구, 저자의 관심과 우려, 작품의 산실(散失)과 손상, 작가연구 등한시, 기록자료와 근대미술사연구 경시 /
1974년 05월
85호
이근삼, 이승규, 정진우 / 환경과 문화 / 연극 / 35~39 / 공간 80호, 에술은 소생할 것인가, 문화권 외곽, 소극적인 활동, 양적 확대 1차 과제, 내용적 뒷받침, 재정적인 문제, 영화나 TV가 대중을 흡수, 인류의 유산인 예술의 문제, 사회 공동 책임이란 의식, 연극인들의 자세와 태도, 극단이나 극작가, 짐작으로 정부 눈치 보기, 관객 찾아 설득할 때, 대중 속으로 파고 들어야, /
1974년 03월
83호
박용구 / 화가 장욱진 / 연재 / 음악 / 40~42 / 거문고 창시, 고구려 제2상 왕산악, 삼국사기 악지, 신라 옛 기록, 진나라 칠현금 연주법 현상, 고구려 왕산악이 개량해 연주, 왕산악의 시대, 거문고 벽화, 안악고분과 통구 무용총, 왕산악은 3~4세기 예부 장관 추정, 고구려 집권체제, 제정일치, 거문고의 샘플인 칠현금, 수공후와 와공후, 진나라 7현금이 곧 와공후, 왕산악이 7현을 4현으로 개량, 와공후가 거문고로 대체, /
1974년 03월
83호
연구채록: 김백봉 / 화가 장욱진 / 연재 / 무용 / 28~39 / 시범연희: 이근성, 춤사위 스케치: 화양동, 제4절 1장단~12장단, 제5절 1장단~14장단, 해설, 봉산탈춤 역사적 유래와 특징, 김의경, 봉산탈춤, 황해지방 탈놀이, 5월 단오 밤 연희, 원래는 평지에서 연희, 사용되는 탈 한번 쓰고 버림, 반주악기: 피리 /
1974년 02월
82호
윤일주 / 예술의 새로운 전개를 위하여- 1)음악편, / 건축 / 41~56 / 관파천 이후 1차 한일협약, 한국정부의 건설업무, 도지부청사(원 정동형사지방법원), 대한의원 본관(현 서울대학병원 본관), 공업전습소 본관(현 국립공업연구소 본관), 평리원과 한성재판소(원 대번원과 공소원 본청사), 광통관(현 상업은행 종로지점), 내부청사(반존, 현 내무부 치안국, 전 경기도청), 농상공부청사(저동, 현 을지로세무서 터), 부산세관(현 부산세관), 인쇄국(원효로 추정,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