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3호
오광수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8) / 미술 / 56~58 / 아시아현대미술전, 문화의식, 서구지향, 근대화, 전통문화, 동양정신, 현대미술, 민족성, 집단적 개성, 서구미술 극복, 한국 모델, 박서보 작 '묘법 No. 57-79', 이우환 작 '점으로부터 #80053', 하종현 작 '접합'(1980), 김창열 작 '수적'(1980) /
서기원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8) / 특집 / 미술 / 48~50 / 조형요소, 형태변화, 이상과 현실, 형색질, 평면, 표현의 본질, 이상미, 새로운 차원, 서기원 작 '관폭 75-1', 홍대미대 /
전영화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8) / 특집 / 미술 / 30~32 / 표리, 상의 세계, 신비, 투명, 조화, 영감, 벨기에, 한국적 미, 묵향, 예술적 궁극, 전영화 작 '상'(1980), 서울미대 /
김복영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8) / 특집 / 미술 / 13~17 / 동양화, 현재적 상황, 본질, 의식비평, 새로운 '시방식', 필선의 극소화, 인위적인 의식체계, 새로운 기법, 정신의 꿈틀거림, 또 하나의 전통, 해석의 치밀성, 정신으로의 예술 /
편집부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8) / 특집 / 미술 / 12 / 특집, 편집자 주, 1980년 , 한국현대미술, 동양화, 비구상, 정신적 기조, 내면 의식, 인위적인 시도, 12인의 참여작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