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4년 02월
82호
황병기, 박용구 / 예술의 새로운 전개를 위하여- 1)음악편, / 음악 / 4~8 / 예술의 새로운 전개를 위하여- 1)음악편, 대담, 예술은 소생할 것인가, 1950년 대 이전 가곡중심, 가사는 민족 주체성, 음악어법은 서양 답습, 60년 대 국제관계 고려한 체질화 문제, 서양의 귀족적 음악, 형식과 내용 계승, 우리나라 정악, 사회적 기반, 아악 정악 민속악 상호 영향, 전통의 계승, 엘리트 의식 타파, 한국고전음악에서의 서구 전위예술 요소, 아방 가르드 /
1974년 01월
81호
편집부 / 한국현대건축의 미학적 현황 / 기타 / 70~71 / 강수화 다완전, 제2회 한국인더스트리얼 디자이너회전, 실내악의 밤, 20대현대작가전, 곽덕준전, 오페라 아리아의 밤, Eight american Artists, 신작 한국가곡 발표회, 월전화전, 정관모조각전, 바로크합주단 정기연주회, 극단 '73그뒤' 공간사랑 공연, /
1974년 01월
81호
김백봉 / 한국현대건축의 미학적 현황 / 연재 / 무용 / 58~68 / 서언, 봉산탈춤 무보, 무형문화재 17호, 이근성 옹 보유, 조상들의 천재적 창조력과 표현력, 반주음악 '허튼타령'조, 봉산탈춤 기본장단, 덩-덩-덕-쿵-기덕, 탈춤무보, 입장-준비동작-1절 18장단 /
1974년 01월
81호
박용숙 / 한국현대건축의 미학적 현황 / 건축 / 3~20 / 현대건축, 개인과 사회, 박길룡의 문제, 절충주의양식, 식민지적 현상, 전통의 단절 위에서 출발, 김중업의 문제, 르 꼬르뷔제 제자, 아르누보 예술원리, 기능적 상징주의, 전통적 조형성, 작가정신과 배치, 떠받이식 원리는 꼬르뷔제 시각, 아르누보양식의 이식, 김수근의 일본적인 것, 미국인 라이트 독일인 타우트, 피카소의 아프리카 목각인형 재창조, 자기 어법으로 확인한 새 예술, 1960년 국회의사당, 라이트의 어법, 존재론적 미학의 문제, 부여박물관, 사회적 사건, 자기미학의 변형 시도, 인간환경계획연구소, 식민지적 도시패턴의 지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