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6호
수화랑 / 박물관건축 / 미술시평 / 작가대담 / 미술 / 96~105 / 현대미술, 색, 감수성, 미니멀아트, 모더니즘, 미니멀리즘, 오브제의해석, 정신주의, 비평, 확산, 환원, 리덕셔니즘 /
263호
오광수, 김희성, 신옥주, 문인수 / 권위주의와 환경문화 / 미술좌담 / 미술 / 90~99 / 젊은 조각가와 평론가의 대담, 표현의 과잉, 표현주의, 물질, 인스탈레이션, 혼합재료의 사용, 비전을 제시하는 예술, 조각의 본질, 조각교육의 문제, 도시구조물, 환경조각을 위한 조각가의 역할 /
261호
진교훈 / 건축, 포스트 모더니즘의 좌표의식과 과제 / 환경시론 / 164~169 / 진교훈(서울대 교수), 철학, 생태학적 위험의 의미, 자연보호의 의미, 자연보전의 실현, 생태학적 논리학, 환경논리학 /
김영재 / 건축, 포스트 모더니즘의 좌표의식과 과제 / 미술시평 / 미술 / 108~113 / 82년 청년 작가전, 국립현대미술관, 패턴, 병치, 중성화, 외연, 구조, 공간, 환경, 반복과 심화 /
259호
진교훈 / DMZ를 기념자연공원으로 / 환경시론 / 건축 / 142~145 / 환경의 파괴와 위협, 공업화 과정, 환경파괴, 과학과 기술 발전, 인류의 여덟가지 대죄악, 카슨, '고요한 봄', 고향의 상실, 생태학적 윤리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