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3호
소흥렬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8) / 사랑방 / 예술 / 11 / 예술인 천국, 국가적 이미지, 생활이 예술화, 상상, 문화생활, 평등 사회, 예술인 촌, 창조의 전통, 예술교육, 시설과 환경, 정책, 창조적 승화 /
161호
이강숙 / 제5회 공간대상 <국제판화상> / 음악 / 84~87 / 대한민국 음악제, 전칭적 명제, 인간의 국면, 멍석, 한국창작곡, 국악연주회, 창작실내악연주회, 자기 연소, 음악 신분증, 김정길의 '주초문', 자율발생 정보, 질적 충실, 새로운 기대 /
김정식 / 정림건축 / 제5회 공간대상 <국제판화상> / 특집-2 / 건축 / 70~72 / 경남 마산, 창원 신도시, 주변 공장, 다목적 홀, 스케일, 스페이스 트러스, 실린더 코어, 수평 수직 이미지, Inner Praza, /
160호
김유경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6) / 초점 / 연극 / 105~106 / 극장, 예술의 중심, 전문성, 무용단, 창극단, 탈춤, 판소리, 배우의 기량, 손진책, 창작극, 민속무용과 굿, 대한민국연극제, 민속무용가 안무, 뮤지컬의 연극인, 집체, 총화 /
이근삼 / 1980년 , 한국현대미술의 상황(6) / 사랑방 / 연극 / 11 / 대한민국 연극제, 창작극 창달, 집행위원회, 축제형식, 상금제도, 극단 공연비, 참가극단 제한, 재정, 공연 장소, 연기자 부족, 질적 향상, 잔치 손님, 외국 극단 초청, 젊은 연극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