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9년 04월
142호
윤우학 / 그랑팔레전 그 세평과 시비와 문제점 / 초점 / 미술 / 99 / 이색적인 전시회, 한일 청년 작가 7인전, 한국작가들, 시각적 관심, 일본, 논증적인 요소, 행위의 시각적 장, 의식의 지향성, 시각체계의 구조, 편집증, 시각적 정화작용 /
1979년 04월
142호
김복영 / 그랑팔레전 그 세평과 시비와 문제점 / 시점 / 미술 / 82~85 / 차대덕 드로잉전, 공간미술관, 이미지, 앵포르멜운동, 완성과 극복, 합목적성의 원리, 이미지운동의 효시, 현실 스토리, 이미지화, 지각의 강화, 조용한 출범, 드로잉 시리즈, '상황' 시리즈 /
1979년 03월
141호
강석희 / 화가 남관: 근작과 근황 / 무용 / 81~85 / 피나 바우시(Pina Bausch), 안무가, 독일 부퍼팔 발레단장, 아시아적 명상, 관중의 취향, 연극성, 단순성, 반복의 효과, 무대장치, 색채효과 반감, 생의 의지, 작품 원동력, Wind from the West, The Second Spring, The Rite of Spring /
1979년 03월
141호
양호일 / 화가 남관: 근작과 근황 / 미술 / 53~69 / 옹기, 발효식품 저장, 장식문양, 유약 점검, 점토 소성, 내용물 식별, 생리학적 해석, 사회학적 해석, 심리학적 해석, 문양의 양산, 현대물리학, 태극, 양조장 옹기(술독 용량 기록), 곡식문, 마형국화문, 추상초화문, 산수경관문, /
1979년 02월
140호
박영규 / 서울의 도시계획… 꿈의 스케치 / 연재 / 디자인 / 90~94 / 의걸이장, 창살, 투각, 한지, 통풍, 시각적 부드러움, 아(亞)자문, 완(卍)자문, 균제효과, 추목, 오동나무, 소나무, 맞짜임형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