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3년 06월
75호
권옥연, 박용숙 / 권진규의 예술, 생활, 죽음 / 미술 / 6~10 / 예술만 신봉한 작가, 정신의 내면성 추구, 시미즈다카시의 후계자, 일본 조각계 평판, 일본 첫 개인전, 무사시노미술학교의 교수직 제의, 예술보다 조국이 중요, 단순 명쾌한 순수이성, 조각은 건축의 일부, 추상조각의 도시계획과의 연대성, 예술가의 사회적 측면, 모뉴망의 조각, 촛불 받는 실내 조각, 태양광 받는 희랍조각, 동양과 서양의 차이, 자신 작품에 회의, 형이상학적 자살 /
1973년 05월
75호
편집부 / 권진규의 예술, 생활, 죽음 / 기타 / 71 / 제184회 서울시립교향악단 정기연주회, 윤형근전, 제4회 백병동 작곡발표회, 제8회 ORIGIN작품전, 제3회 김형구유화전, 조영동도미전, 신수회 전시회, 주한독일문화원, 박항섭 작품전, 한운성 도미기념전, 정은모 피아노독주회, 판화8인전, 미국현대조각도예전, 제2회 시공전 /
1973년 05월
75호
고주석, 안영배, 나상기, 엄덕문, 홍순인 / 권진규의 예술, 생활, 죽음 / 건축 / 66~70 / 참여하는 토론자로서(고주석), 시민회관 콤페를 겪고(안영배), 심사에 대한 작가의 소감(나상기), 시민회관에 임하여(엄덕문), 계획방향 설면 및 소감(홍순인) /
1973년 05월
75호
강병기, 박윤성, 이정덕 / 권진규의 예술, 생활, 죽음 / 건축 / 63~65 / 강병기, 응모자에게, 시민사회에 던지는 영향, 도시환경 변화 고려, 심사벙법, 총체로서 판단 총점에 포함해야, 박윤성, 음향계획 소홀, 전통에 대한 허식, 이정덕, 현상설계 성패 판가름, 치명적 잘못 피하기, /
1973년 05월
75호
권진규의 예술, 생활, 죽음 / 건축 / 58~62 / 가작: 홍익대학 안(나상기, 윤도근), 가작: 가전건축연구소안(홍순인, 김린), 가작: 안영배건축연구소안(안영배), 장려상: 고주석 안, 장려상: 유희준 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