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SPACE는 국내 최고의 건축 포털 매거진입니다. 회원가입을 하시면 보다 편리하게 정보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ogin 회원가입
Naver 로그인


상일재

애시스건축사사무소

방명철(애시스건축사사무소 대표)
사진
남궁선
자료제공
애시스건축사사무소
진행
오주연 기자
background
‘상일재(相一齋)’는 건축주가 먼 미래 손주와 함께 하는 삶을 그리며 지은 이름이다. 바깥채의 아들 가족이 안채의 부모와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며 소중한 추억을 함께 쌓아가길 바라는 마음이 담겨있다.  ​
대지는 남측의 막다른 도로, 동측의 인접 주택지, 서측과 북측의 산림에 접하여 있다. 서측의 구릉지로 인해 시각적, 공간적 확장이 이루어지고 산의 풍광을 감상할 수 있는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넉넉한 대지 덕에 풍광을 끌어들일 공간적 여유가 허락되었기에 남향 배치를 기본으로 하여 서측의 산의 능선이 제공하는 풍경을 담을 방법을 모색하였다. 
도로로부터 긴 대지의 깊이를 이용하여 안쪽에 동서로 긴 매스를 그리고 바깥쪽에 짧은 매스를 배치하여 내외부 공간에 위계를 부여하였다. 두 개의 매스가 연결되며 외부 공간은 여러 가지 모습의 마당으로 나뉘고, 내부 공간은 마당을 받아들이며 변주를 보인다. 대문에서 현관에 이르는 진입 마당, 현관과 식당 사이 차 한 잔의 여유를 즐길 수 있는 작은 마당, 거실 앞 주변 산세를 조망할 수 있는 앞마당, 그리고 구릉지와 완만하게 연결된 지하의 선큰 마당은 주택의 표정을 다채롭게 한다. 





바깥쪽 짧은 매스는 주 공간을 뒤로 살짝 숨기며 도로에서 접근하는 사람들을 맞이하는 역할을 한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와 작은 규모로 겸손한 인상을 주며 주 공간의 채광과 조망을 방해하지 않는다. 바깥채에는 게스트룸과 아들의 영역이 별도의 현관과 계단을 갖추고 있다. 안채와 연결된 복도에는 필요에 따라 공간을 분리할 수 있는 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설비 또한 별도 제어가 가능하도록 고려되었다. 지하주차장을 통해 주로 출입하는 건축주는 아들 부재 시 안채만 이용하며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향후에는 독립된 영역을 형성하여 두 세대가 적당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하였다.
안채에 들어서면 조금씩 아껴 놓은 풍경을 아낌없이 드러난다. 활짝 열린 공간에서 처마와 캐노피가 과도한 햇빛을 거르고, 밀도와 수형을 달리하는 조경이 시야를 적절하게 집중 또는 제한하며 개방감을 조절한다. 아내의 영역인 2층은 천장의 높이 변화와 고창으로 풍성한 공간감을 느낄 수 있다. 지하는 가족을 맞이하는 공간이며 남편의 취미 공간이다. 지하주차장과 지상 출입구를 연결하는 선큰 그리고 취미 공간과 앞마당을 연결하는 선큰은 지하 공간의 답답함을 해소하고 지상으로 공간적, 시각적 연계를 강화한다.
현관에 들어서며 작은 마당의 단풍나무를, 중문을 지나며 앞마당의 연못과 실새풀을, 거실로 다가가며 뒷마당의 벚나무를 조우하게 된다. 분리된 영역으로 길어진 동선이지만 여러 가지 풍경을 받아들이며 시간의 흐름과 함께 호흡하는 순간을 마련해준다. 마당을 가로지르는 연결 복도는 내외부의 바닥이 동일하게 마감되어 양측의 슬라이딩 도어를 개방하면 좌우의 마당이 하나로 이어진다. 마천석과 라임스톤으로 담백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외관은 식재된 나무들을 돋보이게 하고 햇빛과 그림자, 빗방울의 인상적인 모습을 발견하게 한다. 












▲ SPACE, 스페이스, 공간
ⓒ VM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계

방명철, 황필순

설계담당

정종근, 염혜은, 손창진

위치

성남시 분당구 두밀로

용도

단독주택

대지면적

1,167 ㎡

건축면적

230.16 ㎡

연면적

716.81 ㎡

규모

지하 1층, 지상 2층

주차

5대

높이

9m

건폐율

19.72%

용적률

32.31%

구조

철근콘크리트조

외부마감

라임스톤, 마천석

내부마감

친환경페인트, 패브릭

구조설계

(주)은구조기술사사무소

기계,전기설계

(주)태인엠이씨

시공

(주)지토

설계기간

2016. 11. ~ 2017. 6.

시공기간

2018. 3. ~ 2019. 8.


방명철
숭실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숭실대학교 건축학부 겸임교수로 활동했다. (주)두우종합건축사사무소에서 실무경험을 쌓았으며 2003년부터 애시스건축사사무소를 설립하여 사람과 장소, 시간과 관계를 맺는 공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12년부터 SH공사 신진건축가로 활동했고 역삼동 J&J빌딩으로 강남 아름다운건축상(2007), 반포동 스노젠 사옥으로 서초 건축상 최우수상(2019)을 수상한 바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한남동 루시드 하우스, 동빙고동 파크사이드, 증산동 두 빌, 신봉동 트리오 하우스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