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SPACE는 국내 최고의 건축 포털 매거진입니다. 회원가입을 하시면 보다 편리하게 정보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ogin 회원가입
Naver 로그인


구체적인, 현실적인, 설득적인: 보통집 | 에스티피엠제이

에스티피엠제이

이승택, 임미정
사진
배지훈
자료제공
에스티피엠제이
진행
방유경 기자
background

「SPACE(공간)」 2024년 12월호 (통권 685호)

 

 

보통집은 과도한 장식이나 치장 대신 평범하지만 본질에 충실한 ‘지극히 보통(super-normal)’의 주택이다. 이는 대지가 변경되고 정해지지 않았던 상황에서 가족 구성원 각각의 삶의 방식을 고려해 주택의 핵심적 요소만으로 구성된 최소의 집을 계획한다는 의도에서 시작됐다. 건축주는 2018년에 양평에 대지를 매입했다. 하지만 개발 허가가 기약 없이 늦어졌고, 입주 시기를 무작정 연기할 수 없었던 터라 기존 대지를 처분하고 인근에 다른 부지를 물색하게 됐다. 대지가 정해지지 않은 상황에서 주택 디자인을 먼저 진행해야 했다. 양평에 개발 중인 50~100채 규모의 전원주택 필지를 분석해 대지의 크기와 그에 따른 건물의 크기, 대지 내 배치, 도로와 주차의 관계 등 공통된 정보들을 추렸다. 대지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는 디자인을 목표로 삼았다. 외부 공간과 입면을 규정하는 몇 가지 커다란 규칙을 정하고 테라스, 채광, 소통적 내부 공간 등 본질적인 요소에 집중했다.

 

 

집의 형태는 단순하다. 자연을 충분히 느낄 수 있게 모든 내부 공간에서 외부 공간을 가지도록 했다. 그 결과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각진 모자 형태의 외형이 결정됐다. 남측으로 향하게 될 입면은 조망과 채광을 최대로 누리도록 커다란 창을 두되 크기의 위계를 없앴다. 테라스를 받치는, 나무로 된 독립된 원기둥 형태의 공간은 주거와 분리된 작업실로 계획됐다.

 

 

 

‘지극히 보통’이란 큰 틀 아래 계획된 이 집은 대지가 정해지지 않은 조건에 대응하기 위한 공간의 구조를 갖는다. 공용부의 중심성과 사적인 공간 및 테라스의 경계성(주변성)이 공간의 구성을 만들고, 그에 따라 내력벽과 비내력벽을 조율한다. 프로그램의 면적과 테라스 크기의 가변성은 건물의 물리적 형상을 대지에 맞도록 조절한다. 유사한 크기의 대지와 향에 따른 배치, 가변적 특성으로 보통집은 ‘지극히 보통’을 넘어서는 의미를 갖게 된다.​ 

 

 

 

월간 「SPACE(공간)」 685호(2024년 12월호) 지면에서 더 많은 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SPACE, 스페이스, 공간
ⓒ VM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계

에스티피엠제이 (이승택, 임미정)

설계담당

한승연

위치

경기도 양평군 강상면 신화리

용도

단독주택

대지면적

556㎡

건축면적

129㎡

연면적

180㎡

규모

지상 3층

주차

1대

높이

10m

건폐율

23.26%

용적률

32.52%

구조

철근콘크리트조

외부마감

스터코

내부마감

도장, 유리블록, 마모륨시트

구조설계

(주)한길구조엔지니어링

기계,전기설계

대도 전기기계설비

시공

그라운드플로어

설계기간

2019. 2. ~ 2021. 3.

시공기간

2021. 4. ~ 12.


에스티피엠제이
에스티피엠제이(stpmj)는 서울과 뉴욕에 위치한 아이디어 기반의 설계사무소다. ‘도발적 현실주의’라는 비전 아래 일상에서의 근본적 아이디어를 새로운 시각으로 해석하여 주거, 문화, 상업 시설 등에 적용하고 있다. 동시에 공공예술, 전시, 설치 작업을 통하여 건축의 경계를 탄력적으로 넓히는 실험을 하고 있다. 뉴욕건축가연맹에서 수여하는 젊은건축가상(2012), 뉴욕건축사협회에서 수여하는 신진건축가상(2016)을 비롯해 한국 젊은건축가상(2016), 김수근 프리뷰상(2016), 디자인 뱅가드상(2017), 건축문화대상(2019), AIA 뉴욕 디자인 어워드 대상(2020, 2019, 2017), 서울시 건축상(2021) 등을 수상했다. 이승택은 고려대학교와 하버드대학교 디자인대학원(GSD)에서, 임미정은 연세대학교, 로드아일랜드 디자인학교(RISD), 하버드대학교 GSD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취득했고 각각 국민대학교 건축대학 겸임교수,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