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2월, 설계공모 당선작으로 원도시건축과 팀텐건축사사무소(현 강산건축)의 ‘연초제조창, 존재하다’가 선정됐다. 그리고 시간이 흘러 마침내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가 모습을 드러냈다.
2019.01.30
「SPACE(공간)」 419호(2002년 10월)
최근 호기심의 방이 청주에 열렸다. 2004년 폐관된 청주 연초제조창에 1만 1,000여 점의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이 ...
2019.01.29
여집합과의 대담 2
여집합과의 대담 1: 여집합 X 오주연
<소피엔스> | 가나아트센터 | Nov. 16 – Dec. 30, 2018
2019.01.28
<뉴웨이브Ⅱ: 디자인, 공공에 대한 생각> | 금호미술관 | Sep. 5, 2018 – Feb. 10, 2019
한국건축가협회 도시재생 세미나(2회) | 일시: 2018.12.20 저녁 6:30 | 장소: KB청춘마루
2019.01.25
지난해 8월 핀란드 헬싱키에 현대미술관인 아모스 렉스가 들어섰다. 이 미술관 프로젝트는 1930년대에 지어진 기능...
<옵세션> | 아르코미술관 | Dec. 19, 2018 – Feb. 3, 2019
이제 디지털 없는 건축을 상상하기 힘들다. 디지털로 구현 가능한 비정형 미학에 대한 논의는 이미 진부하다. 이보...
2019.01.17
정재헌(경희대학교 교수) × 김정은(「SPACE(공간)」 편집장)
2019.01.10
한국건축가협회 도시재생 세미나(1회) | 일시: 2018.11.29 저녁 6:30 | 장소: KB청춘마루
2019.01.04
국가와 건축의 관계를 전시하다_<건축의 일본>(모리미술관)
2018.12.12
국가와 건축의 관계를 전시하다_<콘크리트 유토피아를 향하여>(MoMA)
2018.12.11
< MMCA 현대차 시리즈 2018: 최정화 – 꽃, 숲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 Sep. 5, 2018 – Feb. 10, ...
2018.12.08
건축과 문학, 철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건축가. 아리스티드 안토나스의 전시 <무위(無爲)의 집(The House for Doing...
2018.11.30
누가 건물에 대해서 가장 잘 아는가? 수용미학을 논하지 않더라도 거대한 용기와 같은 건축에서 건축주, 사용자, ...
나는 건축가로서의 지속가능성이 업역의 지속적인 확장을 통해 얻어지기보다는, 건축물을 잘 지을 수 있는 직능에...
경상남도 남해는 누군가에게 사우스케이프와 아난티의 소재지이고 누군가에게는 한려수도의 절경일 것이다. 멸치쌈...
2018.11.29
「SPACE(공간)」가 필자에게 요청한 글의 과제는 다음 질문으로 집약할 수 있다. 한국의 1980년대 출생 건축가(이...
2018.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