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SPACE는 국내 최고의 건축 포털 매거진입니다. 회원가입을 하시면 보다 편리하게 정보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ogin 회원가입
Naver 로그인


관계와 경계: 콘크리트월

네임리스 건축

나은중, 유소래
사진
노경
자료제공
네임리스 건축
진행
방유경 기자
background

​​​「SPACE(공간)」 2023년 9월호 (통권 670호)

 

 

자연과 인공은 어떤 관계이며, 둘 사이 경계는 어디에 있는가? 콘크리트 벽의 깨진 단면에 드러난 모래와 자갈은 거친 돌의 속살과 다를 바 없다. 이것은 자연인가 인공인가? 콘크리트의 벌어진 틈 사이로 풀과 바람이 스며든다. 자연과 인공, 이들의 관계에 대한 생각은 건축의 근본에 대한 질문이다. 대지는 산과 물이 만나는 제천 청풍호 자락에 위치한다. ‘맑은 바람과 밝은 달(淸風明月)’이라는 지명 유래는 자연으로 둘러싸인 땅의 고즈넉함을 암시한다. 이곳에 느슨한 감각의 카페를 계획하며 땅의 이야기를 장소의 경험으로 치환하고자 한다. 이는 벽과 지붕이라는 건축의 기본 요소로부터 시작된다. 벽은 경사진 대지를 가로지르며 마당을 나누고 공간의 켜를 연결한다. 이 위에 수평적인 판이 얹히고 안과 밖의 경계를 형성한다. 벽과 지붕은 입체적인 지형에 다양한 켜와 틈을 형성하며, 그 사이 바람과 빛이 스며들 여지를 만든다.

장소의 경험은 자연과 인공이 교차하는 시퀀스를 통해 이뤄진다. 방문객의 여정은 땅 밑으로 내려가며 시작된다. 대지에 틈을 벌려 형성된 계단을 따라 내려오면, 흘러내리는 형태의 벽이 전면의 숲을 내부로 끌어들인다. 판매 공간을 지나 천장에 벌어진 틈을 통해 빛이 스며드는 빛마당이 나온다. 다시 상부로 이동하며 마주하는 콘크리트 돌기둥과 흐트러진 돌마당은 서로 대조를 이루며 자연과 인공의 관계를 형성한다. 식음동 전면에 형성된 수공간의 비물질화된 수면의 흔들림이 거친 콘크리트 벽면에 반사되어 빛을 산란한다. 대지에는 돌과 콘크리트, 벽과 판, 자연과 인공 사이 상호적인 관계가 공존한다. 서로 다른 대상의 관계를 포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 둘의 경계를 바라보는 것이 필요하다. 사물의 경계에서 때로는 부딪힘을 형성하지만 다름의 본성은 사실 다르지 않음을 인지하게 된다. 결국 경계는 흐릿해지고 관계의 중요성이 떠오른다.(글 나은중, 유소래 / 진행 방유경 기자)

 

 

월간 「SPACE(공간)」 670호(2023년 9월호) 지면에서 더 많은 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SPACE, 스페이스, 공간
ⓒ VM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계

네임리스 건축(나은중, 유소래)

설계담당

이창수, 이정호, 강택규, 박지훈, 김알리나

위치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청풍호로 1566

용도

근린생활시설(카페)

대지면적

2,843㎡

건축면적

262.15m㎡

연면적

290.46㎡

규모

지상 2층, 지하1층

주차

19대

높이

6.4m

건폐율

9.22%

용적률

10.22%

구조

철근콘크리트조

외부마감

노출콘크리트 치핑, 콘크리트 정다듬, 투명복층유리

내부마감

노출콘크리트 치핑, 콘크리트 폴리싱

구조설계

(주)이든구조컨설턴트

기계,전기설계

(주)선이엔지

시공

태연디앤에프건설(주)

설계기간

2021. 6. ~ 12.

시공기간

2022. 4. ~ 2023. 4.

건축주

콘크리트월

조경설계

조경상회


네임리스 건축
네임리스 건축은 아이디어 기반의 설계사무소다. 나은중과 유소래는 각각 홍익대학교와 고려대학교에서 건축을 공부하고 UC 버클리 건축대학원을 같은 해 졸업했다. 2010년 뉴욕에서 네임리스 건축을 개소한 후 서울로 사무실을 확장했으며, 예측불허한 세상 안에 단순함의 구축을 통해 건축과 도시 그리고 문화적 사회현상을 탐구하고 있다.